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 재테크

📊 2025년 3월 13일 미국 증시 현황

by 넙따따 2025. 3. 13.

⚠️ 본 포스팅은 주식 변화 흐름을 분석하고 이해를 돕기 위한 용도로 작성되었습니다. 주식 투자에 따른 결과는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이므로, 신중한 판단을 부탁드립니다.

 

📌 목차

  1. 🔥 미국 증시 주요 지수 마감 현황
  2. 📊 시장을 움직인 주요 이슈
  3. 💡 업종별 증시 흐름 및 대표 종목
  4. 🏆 개별 종목 주요 변동
  5. 🔮 향후 일정

🔥 미국 증시 주요 지수 마감 현황

오늘 증시는 나스닥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으며, S&P 500도 긍정적인 마감을 했습니다. 반면 다우존스 지수는 일부 산업주의 약세로 소폭 하락한 모습입니다.

 

지수 종가 변동폭 변동률(%)
📈 S&P 500 5,599.30 ▲ 27.89 ▲ 0.5%
📈 나스닥 종합 17,648.45 ▲ 211.73 ▲ 1.2%
📉 다우존스 41,350.93 ▼ 82.17 ▼ 0.2%

 

S&P 500나스닥은 주식 시장의 대장주들이 상승하면서 증시를 이끌었고, 특히 기술주AI 관련 주식들이 활약한 날이었습니다. 나스닥은 1.2%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고, S&P 500도 기술주와 일부 소비재 기업의 상승 덕분에 긍정적인 변동을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다우존스는 유가 하락과 일부 금융주의 부진으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 시장을 움직인 주요 이슈

📌 1) 예상보다 낮은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낮은 3.8%를 기록하면서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기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인플레이션 완화 신호로 해석되었습니다.

  • 저조한 물가 상승률은 시장의 금리 인상 우려를 완화시켜 주었고, 이는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금리가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면 주식 시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이번 CPI 지표 발표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기술주와 소비재 업종이 상승세를 타게 되었습니다.
  •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가 한 풀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지면서 투자자들이 기술주와 성장주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재개했습니다. 이로 인해 나스닥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 2)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관세 정책 우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중국 및 유럽산 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관세를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이는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을 더욱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일부 소비재산업재 업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무역 갈등은 기업들의 수출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특히 에너지소비재 섹터가 타격을 받았습니다. 주식 시장에서도 무역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산업재 및 소비재 종목들이 하락세를 보였으며, 이로 인해 다우존스 지수의 부진을 초래했습니다.

 

📌 3) AI 관련주 강세 지속

엔비디아(NVIDIA), AMD, 테슬라(Tesla)AI 관련주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이번에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AI자율주행차 기술의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기술주들이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 엔비디아AMDAI 칩의 수요 증가에 따라 급등했습니다. 이 두 회사는 데이터 센터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자율주행차AI 기술 관련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테슬라 역시 자율주행 기술의 선두주자로서, FSD(Full Self Driving) 업데이트 발표와 함께 자율주행차 기술 관련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업종별 증시 흐름 및 대표 종목

 

업종 변동폭(%) 대표 종목 주요 특징
📈 정보기술(IT) ▲ 1.7% 엔비디아(NVDA), 애플(AAPL), AMD, 마이크로소프트(MSFT) AI 및 반도체 관련주 상승, 기술 혁신 기대감
📉 금융 ▼ 0.6% JP모건체이스(JPM), 골드만삭스(GS), 뱅크오브아메리카(BAC) 금리 변동성과 실적 부진 우려
📈 헬스케어 ▲ 0.4% 존슨앤드존슨(JNJ), 화이자(PFE), 유나이티드헬스(UNH) 제약사 호재, 백신 관련 수요 증가
📉 에너지 ▼ 0.9% 엑손모빌(XOM), 셰브론(CVX), 코노코필립스(COP) 유가 하락, 공급망 이슈
📈 소비재 ▲ 0.3% 맥도날드(MCD), 스타벅스(SBUX), 코카콜라(KO) 경기 회복 기대감, 소비 증가 전망

📌 정보기술(IT) 업종

  • 엔비디아(NVDA): AI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며 데이터 센터AI 연구소에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GPU를 통한 컴퓨터 비전 기술도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 애플(AAPL): AI 기능을 포함한 신제품 발표에 대한 기대감이 증대되었습니다. 또한, 서비스 부문의 실적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AMD: CPUGPU 칩을 통한 게임클라우드 컴퓨팅 수요가 늘어가면서 회사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 금융 업종

  • JP모건체이스(JPM), 골드만삭스(GS), 뱅크오브아메리카(BAC)는 금리 인상 우려와 채권 시장의 부진으로 인해 소폭 하락했습니다.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금융주들의 실적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헬스케어 업종

  • 존슨앤드존슨(JNJ)화이자(PFE)백신제약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유나이티드헬스(UNH)보험 관련 사업의 안정성을 인정받으며 상승세를 타고 있습니다.

📌 에너지 업종

  • 엑손모빌(XOM)셰브론(CVX)유가 하락으로 인해 타격을 입었습니다. 공급망 문제와 원유 수요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

📌 소비재 업종

  • 맥도날드(MCD), 스타벅스(SBUX), 코카콜라(KO)경기 회복 기대감과 소비 증가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개별 종목 주요 변동

 

강세 종목

  • 엔비디아(NVDA) ▲ 6.39% (종가: $115.74) → AI 반도체 수요 증가, 데이터 센터 수요 지속
  • 테슬라(TSLA) ▲ 7.68% (종가: $248.09) → 새로운 자율주행(FSD) 업데이트 발표
  • 애플(AAPL) ▲ 2.1% (종가: $216.98) → AI 기능 추가 및 신제품 발표 기대감

 

약세 종목

  • JP모건체이스(JPM) ▼ 0.55% (종가: $227.90) → 은행업 실적 부담, 금리 인하 우려
  • 엑손모빌(XOM) ▼ 0.06% (종가: $109.13) → 유가 하락 영향, 공급망 불안정
  • 맥도날드(MCD) ▼ 2.45% (종가: $299.40) → 소비 둔화 우려,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 향후 일정

1. 2025년 3월 18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 설명: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회의입니다. 회의 결과에 따라 증시와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금리 인상 또는 동결 여부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2. 2025년 3월 22일: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시작

  • 설명: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시작됩니다. 이 실적 발표는 기술주성장주의 향후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실적이 시장 예상보다 좋거나 나쁘면 큰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2025년 3월 30일: 미국 1분기 GDP 성장률 발표

  • 설명: 미국 1분기 GDP 성장률이 발표됩니다. GDP는 경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로, 경제 성장률이 예상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증시의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2025년 4월 2일: 미국 3월 고용보고서 발표

  • 설명: 3월 고용보고서에서는 비농업 고용 증가 지표가 발표됩니다. 고용 증가율은 경제의 건전성과 향후 통화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주식시장에서 주목할 중요한 발표입니다.

2025년 3월 13일 미국 증시 현황